우리나라 최강의 전차라고 할 수 있는 K2 흑표전차의 중동 수출에 대해 잇단 청신호가 켜지고 있습니다. 작년 방위산업계 및 무기 전문가 등에 의하면, K2 흑표전차에 대한 중동 국가들의 관심이 매우 높다고 합니다. K2 흑표전차는 전차의 심장이고 할 수 있는 변속기와 엔진 조합의 파워팩에 대한 이슈로 10여 년 동안 논란이 있어 2차 양산이 지연됐었습니다.
중동 국가 중 가장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는 나라는 오만입니다. 오만은 전차 76대 도입을 추진 중인데 이는 8억 4천만 달러 규모입니다. 오만은 2018년 7월 구매 대상 전차의 성능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는데요. 이때 K2 전차가 무난히 통과되어 이후 수출에 대한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평가 당시에 K2 전차와 경쟁을 했던 전차는 터키의 알타이 전차였습니다. 그런데 알타이 전차는 성능 평가 시험 중 멈춰서는 바람에 평가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하네요. 터키의 이 전차는 K2 전차의 제조 회사인 현대로템의 기술을 도입하여 제작한 전차입니다. 여기에 독일 기술까지 더하여 심장부 파워백을 자체 개발하여 장착하였습니다. 하지만 터키 입장에서는 정말 안타깝게도 결국 주행 중 자동이 중지되는 결과를 낳았네요.
반면 우리 K2 흑표전차는 주행 시험을 무난하게 통과하였습니다. 그리고 2018년 10월 경, 국내 방위산업전시회인 DX 코리아에서도 화끈한 화력시범을 승진훈련장에서 보여줌으로써 또 한 번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오만의 방위 전문가 및 관련 매체들은 향후 전차 도입사업에 있어 한국의 K2 전차가 유력시된다면서 사막지형 작전에 맞게 에어필터 등 일부 장비가 보완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역시 전차 3백 여대 도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이번에도 역시 K2 전차가 유력한 후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유력 기종 후보로는 미국, 독일, 영국 등의 전차들이 거론되었습니다. 하지만 사우디 언론인 사건이었던 자말 카슈끄지 사건을 계기로 독일 및 영국에서 사우디로 무기를 수출하는 것을 거부하였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일부 물량은 수입을 하고, 대부분의 나머지 물량은 기술이전을 통한 자체 생산 방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이 현재 생산 중인 무기 기술에 대한 이전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우리 K2 전차가 유력한 후보 기종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인 것입니다.
우리나라 차세대 전차인 K2 전차의 가장 큰 장점은 세계 그 어떤 나라의 전차와 비교해도 뒤지지 않는 성능임에도 가격 경쟁력이 뛰어나다는 점입니다. K2 흑표 전차는 능동방어체계 및 반응장갑, 120mm 포탄 자동장전 장치, 로켓탄 방호용 레니더, 대전차 미사일, 그리고 120mm 55구경장주포 등 최신 첨단 기술이 모두 집약된 결과물입니다.
비록 오랜 기간 동안 논란을 빚어왔던 혼합형 파워백에 대한 이슈가 있었지만 장거리 주행시험 및 저온시동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쳐 논란을 잠재웠습니다.
K2 흑표전차 2차 양산분 물량은 작년부터 106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었습니다. K2 전차가 중동국가의 관심을 많이 받는 또 한 가지 이유는 운용 병력 인원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차 1대에 탑승하는 병력 인원은 4명입니다. 하지만 K2 전차는 자동 탄장착 장치의 설계 구조로 인하여 3명만 탑승할 수 있기 때문에 병력이 그리 많지 않은 중동 국가에게 적합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K2 전차는 전투중량 56t, 120mm 55구경장 주포에 전차장 대공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수심 4.1m까지 잠수가 가능한 3.5세대 전차입니다. 체계사업자는 현대로템이 참여하고 있으며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에서 개발하였습니다. 최고 속도는 70km/h, 항속거리 450km, 1500마력에 도하능력은 약 4m입니다.
기동성능면에서도 전차 선진국의 최신형 전차보다 더 우수한 평가를 받았습니다. 더군다나 산악지형이 많은 한국 지형에 적합하게 설계 및 개발되었기 때문에 시속 40km의 빠른 속도에서도 31%에 육박하는 급격한 경사를 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혹서기와 혹한기 환경에서도 전차의 성능이 감소하지 않습니다.
사실 K2 전차는현대로템 및 한국군 전차 역사에 있어서 애증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차의 국산화 과정이 가시밭길과 같았기 때문입니다. 파워팩은 엔진 및 변속기로 구성되는 전차의 심장부라고 말씀드렸었는데요. 엔진과 변속기 개발을 처음엔 국내 업체가 맡았지만 테스트 과정에서 계속되는 결함과 파손으로 결국 1차 양산 물량은 외산 파워팩을 장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